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정신없고 슬픔에 잠긴 와중에도 꼭 챙겨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 이 내용을 미리 알고 준비해두면 막막함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을 거예요. 아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1. 장례식장 준비
- 장소 선정: 고인의 주소지 또는 추모 장소와 가까운 곳에서 정합니다.
- 비용 확인: 빈소 대여, 식사, 경조비를 꼼꼼히 체크해 예산을 관리합니다.
- 협력: 장례식장 직원과 상의해 절차를 원활히 진행하도록 합니다.
2. 부고문자와 단체문자 발송
- 예의 있는 안내: 부고 내용을 간결하고 정중하게 작성하세요.
- 예시: “○○○님의 별세 소식을 전합니다. ○○○장례식장에서 ○월 ○일 발인 예정입니다.”
- 시간 조정: 최소 2~3시간 여유를 두고 연락을 돌리는 게 좋습니다.
3. 사망신고
- 기한: 사망 사실은 1개월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 서류 준비: 사망진단서, 신분증, 가족관계 증명서 등이 필요합니다.
- 신고 장소: 병원에서 받은 진단서를 지참해 가까운 주민센터나 구청에서 처리하세요.
4. 유족연금 및 경제적 지원
- 국민연금에 가입돼 있었다면 유족연금을 신청하세요.
- 유족연금 지급 대상: 배우자, 자녀(25세 미만), 부모 순서로 지급됩니다.
- 신청 기한: 고인의 사망일로부터 5년 이내에 가능.
5. 고인 명의의 계약 해지
- 필수 확인: 고인이 사용 중인 가스, 전기, 수도, 자동차, 휴대폰, 인터넷 등의 계약을 꼭 확인하고 해지하세요.
- 주의사항: 은행계좌나 보험상품은 별도의 상속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6. 안심 상속 원스톱 서비스
- 서비스 활용: 금융 내역, 토지, 차량, 세금 등 고인의 재산을 한 번에 확인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 주민센터나 인터넷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이 목록을 참고하면 혼란을 줄이고 실질적인 절차를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마음의 준비는 쉽지 않지만, 이런 정보가 필요할 때 큰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 🙏
'짤.jp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고속버스 회사가 받고 있는 민원.jpg (1) | 2024.10.28 |
---|---|
현재) 난리난 국밥집 중년 남성들 ㄷㄷ.. jpg (1) | 2024.10.28 |
호텔 어메니티의 변화, 환경을 생각한 작은 실천 🌱 (1) | 2024.10.28 |
대기업 다니면 돈을 안쓰는 이유.jpg (1) | 2024.10.28 |
여직원이 남직원과 식사 꺼려하는 이유 중 하나.jpg (1) | 2024.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