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이대로 가다간 큰일날 판…처참한 상황에 '곡소리'
서울권 대학과 지방권 대학 간 경쟁률 차이가 5년 새 최고로 벌어졌다. 의과대학 증원으로 전체적인 합격 점수가 하락할 것이란 예상에 수시에서 상향 지원하는 학생이 많아지면서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했다는 분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38448?ntype=RANKING
수시 '인서울 쏠림'…정원미달 80%가 지방대
서울권 대학과 지방권 대학 간 경쟁률 차이가 5년 새 최고로 벌어졌다. 의과대학 증원으로 전체적인 합격 점수가 하락할 것이란 예상에 수시에서 상향 지원하는 학생이 많아지면서 수도권 쏠림
n.news.naver.com
지방 대학들의 상황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모두가 느끼는 현실입니다. 서울권과 지방권의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되고 있고, 이는 단순히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소멸로 이어질 가능성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 현재 지방대의 처참한 상황
1️⃣ 수시 경쟁률 격차
- 2025학년도 기준으로 서울권 대학의 수시 경쟁률은 18.74:1로 계속 상승 중인 반면, 지방권은 5.99:1로 정체 상태입니다.
- 수도권 선호 현상이 갈수록 강해지고, 지방 대학에 대한 관심은 점점 줄어들고 있죠.
2️⃣ 수시 미달 학교 증가
- 지방권에서 수시 미달률은 80%에 달할 정도로 심각합니다.
- 경인권도 미달률이 증가하는 추세라 수도권 밖 지역의 대학들은 더욱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3️⃣ 지방 소멸의 현실화
- 대학뿐 아니라 지방의 경제, 사회 구조 전반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 특히 농어촌 지역은 인구 감소로 인해 학생 수 자체가 줄어드는 문제까지 겹치면서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어요.
🎓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 수도권 집중화
수도권으로의 인구와 자원의 집중이 가속화되며 지방 대학들은 입학자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습니다. - 취업과 연계된 경쟁력 부족
지방 대학들은 취업과 직결되는 경쟁력을 서울권 대학과 비교해 확보하기 어려워, 자연스럽게 학생들에게 외면받고 있습니다. - 인구 감소의 영향
저출산으로 대학 입학 가능 연령대 인구 자체가 감소하면서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지방 대학의 입학생 확보는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 해결책은 없을까?
1️⃣ 지방 대학의 특성화
지방 대학이 지역 산업과 연계된 특화된 학과와 프로그램을 강화해 경쟁력을 높여야 합니다.
2️⃣ 국가 지원 확대
지방 대학의 운영을 돕고, 지역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 계획을 마련해야 합니다.
3️⃣ 지역 내 취업 연계 강화
졸업 후 지역 내에서 취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학생들이 지방에 머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10년 내 더 심화될 가능성
지금 이대로라면 지방 대학의 위기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며, 이는 단순히 대학 문제에 그치지 않고 지방 소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방 대학과 지역 사회의 상생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짤.jp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 vs AI 진단 대결 결과 (0) | 2025.01.22 |
---|---|
독도의 날, 네이버 지도도 함께하는 기념일 🇰🇷✨ (0) | 2025.01.21 |
영화 클레멘타인, 평점 낚시의 전설? 🎬🔥 (0) | 2025.01.21 |
대전 빵 축제, 성심당 효과로 대전의 새로운 얼굴! 🍞✨ (2) | 2025.01.21 |
인사 담당자가 꼽은 불필요한 스펙 1위, 이제 진짜 중요한 건 뭘까? 🤔 (1) | 2025.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