짤.jpg

🏠 원룸 건물주, 정말 꿈의 직업일까? 현실 조언 모음.jpg

©℗®™ 2025. 2. 14.

원룸 건물주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는 솔직한 후기가 담겨 있네요. 😵‍💫


📌 원룸 건물주의 현실적인 문제들

1. 세입자 관리의 어려움

✔ 세입자들이 월세를 밀리면 건물주도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음
✔ 원룸 세입자들은 자주 이사를 가며, 일부는 월세 미납 후 잠적하는 경우도 있음
✔ 월세 못 받으면 다방산(부동산) 수수료까지 내고 새로 세입자를 찾아야 함


2. 수리 문제 (특히 화장실 🚽)

✔ 세입자들이 시설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변기 막힘, 수도 고장 등 자잘한 문제들이 끊임없이 발생
✔ 1년에 최소 2번은 변기 막혀서 뚫어야 함 🤦‍♂️


3. 애완동물 관련 문제

✔ 계약서에 ‘반려동물 금지’ 조항을 넣어도 몰래 키우는 경우가 많음
✔ 벽지, 문짝이 긁히고 냄새가 남음 🐶🐱
✔ 개를 키운 후 이사 가면 새 세입자 받기가 힘들어짐


4. 공실 리스크 (서울 vs 지방 차이)

✔ 서울은 비교적 공실이 빨리 채워지지만, 지방은 공실률이 높아 위험
✔ 지방 원룸은 한번 공실이 나면 최소 몇 개월 이상 빈집으로 둘 가능성 큼
✔ 공실이 길어지면 건물주도 대출 이자 부담 + 수익 감소


5. 청소 문제 🧹

✔ 대행업체를 써도 주 1회 청소가 한계
✔ 세입자들이 공용 공간 관리에 신경을 안 쓰면 쓰레기 투기, 담배꽁초 방치, 몰상식한 행동들로 인해 건물 주변이 더러워짐
✔ 건물 외관 관리가 안 되면 입주자들이 줄어들고 이미지 악화


6.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방의 경우 외국인 노동자(특히 중국인, 동남아 계열)가 많이 거주
✔ 한 방에 4~5명이 몰래 살면서 건물 내부가 금방 훼손됨
✔ 계약 인원 초과로 인해 건물이 빨리 노후화됨
✔ 물 사용량이 많아 수도세 부담 증가 💦


💡 결론: 원룸 건물주, 현실적인가?

건물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자신이 있는가?
수리, 공실, 세입자 문제를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지방보다는 서울, 대학가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 유리하다
세입자 관리, 법률적인 문제, 공실 리스크를 감안한 투자 필요

단순히 월세만 받으면 끝이 아니라는 점!
관리 안 하면 스트레스 + 수익률 감소
수익형 부동산은 서비스업이라는 마인드 필요

💬 여러분은 이런 현실을 감안해도 원룸 건물주에 도전하고 싶으신가요? 🤔

댓글